본문 바로가기

He's Column

2015년 이메일 이용 현황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모바일 메신저 등 대안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증가하면서 전통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이었던 이메일의 이용률은 감소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의 ‘2014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에 의하면 국내 인터넷 이용자의 최근 1년 이내 이메일 이용률은 전년대비 0.9%p 감소한 59.3%이며, 최근 1개월 이내에 이메일을 이용한 비율은 48.8%로 조사되었다. 이메일 이용자의 성별 이용률을 보면 남성 및 여성의 이메일 이용률은 각각 64.4%와 53.8%로 남성이 10.6%p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86.1%), 30대(79.5%), 40대(63.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연령별 이메일 이용률(만 6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 더보기
SNS로 인한 정보 경제 구조의 변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오프라인 관계를 온라인으로 연결하고, 문서를 디지털로 저장하는 소극적 미디어의 역할에서 이용자의 생각과 감정을 전파하는 적극적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사용자에게 인터넷상에서의 관계형성 뿐만 아니라, 정보(Contents) 경제 과정인 생산→유통→소비의 핵심 주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음을 의미한다. 즉, 과거 대부분의 정보가 기업이나 CP(Contents Provider) 중심으로 생산·유통되는 구조에서 사용자 스스로 정보를 재생산하고, 자신의 관계 네트워크를 통해 유통하고, 소비하는 구조로 바뀌었음을 의미한다. SNS로 인한 정보 경제 구조의 변화(출처: 한국인터넷진흥원(2014.8), 국내 SNS의 이용 현황과 주요 이슈 분석, 이미지: DMC RE.. 더보기
SNS와 소셜미디어의 개념과 기능별 유형화 인터넷상에서 인간관계를 강화하거나 새로운 인맥을 형성함으로써 폭넓은 인적네트워크를 형성해 주는 네트워킹 서비스를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라고 하며, 미니홈피, 블로그, 마이크로블로그, 프로필기반 서비스 등을 포함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비슷한 개념으로 소셜미디어가 있으며, 자신의 취향과 활동을 공유하거나, 타인의 취향과 활동을 관찰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공동체를 위한 온라인 사회관계의 형성에 중점을 둔 미디어 기능이 부각된 서비스라고 정의할 수 있다. SNS의 기능별 유형화 SNS는 기능에 따라 프로필 기반, 비즈니스 기반, 블로그 기반, 버티컬, 협업 기반, 커뮤니케이션 중심, 관심주제 기반, 마이크로 블로깅 등으로 유형을 나눌 수 있다. 프로필 기반은 싸이월드, 페이스북, 마이스페이스,.. 더보기
K팝스타5가 재미없어진 이유 K팝스타는 오래전부터 즐겨보던 프로그램이다. 시즌1부터 거의 매 시즌을 즐겁게 보아왔다. 그런데 최근에 시작한 K팝스타 시즌5를 보면서 이렇다할 재미를 못느끼고 있다. 지난 시즌만 해도 정승환, 박윤하를 좋아했었고 꼭 챙겨보던 프로그램이다. 사실 시즌마다 좋아하는 참가자가 생기고 응원하는 맛에 계속 챙겨보게 되었던 것 같다. 그런데 이번 시즌은 이렇다할 응원할 참가자가 없다. 왜 그럴까? 아무래도 획일화된 심사기준이 가장 큰 몫을 차지하는 것 같다. 특히 박진영의 심사기준이 절대적이다. 말하는 듯이 노래 부르고, 자기 목소리로 노래 부르고, 노래 가사에 심취해서 자기가 그 상황을 겪고 있는 듯이 불러야 감동이 온다는 둥 참으로 많은 이야기를 해왔다. 공기반 소리반은 차지하고라도 이러한 이야기를 시도때도 .. 더보기
서울시 대학생 겨울방학 아르바이트 12월 9일까지 모집 서울시에서 2016 겨울방학 대학생 아르바이트생을 12월 2일부터 9일까지 모집한다. 서울시에서는 매년 여름방학과 겨울방학에 대학생 겨울방학 아르바이트생을 모집하고 있다. 서울시 대학생 아르바이트는 매년 20대1 가량의 엄청난 경쟁률이 말해주듯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서울 시정에도 참여할 수 있으며, 사회생활도 배울 수 있고, 게다가 돈까지 안정적으로 벌게 되니 정말 꿀알바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서울시 대학생 아르바이트는 2015년 12월 2일부터 12월 9일까지 '모바일서울' 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총 1629명을 모집하는데, 서울시에서 500명, 자치구에서 1129명을 모집한다. 구글플레이나 애플 앱스토어에서 '모바일서울' 앱을 설치하고 접속해 보면 메인 화면에 '[신청] 겨울방학 대학생 아르.. 더보기
싸이월드 미니홈피가 망한 이유는 플랫폼 비즈니스 전략의 실패에 있다! 싸이월드 미니홈피가 망했다. 물론 싸이월드가 망한 건 아니다. 하지만 미니홈피는 사라졌다. 미니홈피는 사라지고 미니홈피의 콘텐츠는 '싸이홈'이라는 서비스로 이관되었다. 싸이홈은 블로그 형식의 서비스다. 블로그 열풍은 싸이월드 미니홈피 열풍을 넘어서지 못할 것이라는 글을 남긴 적이 있는데, 결국 블로그가 싸이월드 미니홈피 열풍을 넘어서지는 못했지만 더 오래 살아남음으로써 무승부로 결론 나게 되었다.(블로그열풍은 결코 싸이열풍을 넘어설 수 없을 것이다! - http://ggamnyang.com/363 : 지금 보니 댓글 논쟁과 막말 댓글, 악플 등이 엄청났군요. ㅎㅎ) 대한민국에서 디카 열풍과 함께 싸이질 열풍이 불었던 싸이월드 미니홈피가 어쩌다가 문을 닫는 상황까지 가게 되었을까? 싸이월드 미니홈피는 SN.. 더보기
삼성전자 공식 블로그가 삼성전자 뉴스룸으로? 삼성전자 공식 블로그인 삼성투모로우가 '삼성전자 뉴스룸'으로 새롭게 탈바꿈한다. 웹2.0의 대표적인 서비스인 블로그가 뉴스룸으로 재탄생한 것일까? 이제는 기업들이 블로그를 비롯한 소셜미디어가 아닌 아에 미디어가 되고 싶어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 기업들이 소셜미디어에 관심을 갖었던 이유는 자신만의 미디어를 보유하고 싶었던 이유가 상당히 크다. Own Media로 가장 각광받은 것이 바로 소셜미디어다. 그런데 이제 한발 더 나아가 삼성전자가 자체 미디어를 하고자 시도하기 시작했다.(물론 삼성전자에게는 중앙일보 같은 미디어가 있기는 하지만..) 물론 뉴스룸이라는 의미가 미디어, 즉 언론사를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생각한다. 이름만 블로그에서 뉴스룸으로 바뀌었지 형식은 블로그 기반의 정보 제공 웹사이트라고 보면 .. 더보기
모바일서울 앱 캐치프레이즈, 서울시민 공모전으로 선정한다! 서울시 대표 모바일 서비스인 '모바일서울' 앱에 로딩되는 캐치프레이즈 공모전이 11월 9일부터 27일까지 펼쳐진다. '모바일서울'은 실시간 버스정보, 미세먼지, 도로소통, 일자리뉴스 등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으로, 서울시 생활 정보를 가장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서울 생활 정보 대표 모바일 서비스다. 이번 캐치프레이즈 공모전은 '모바일서울' 로딩 화면에 나오는 카피를 선정하는 행사다. 위 이미지와 같이 '모바일서울' 앱을 실행하게 되면 로딩 화면이 나오게 된다. 이 화면에 바로 모바일서울 앱 캐치프레이즈가 나오게 되는 것이다. 모바일서울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실행하게 되면 메인 화면에 "캐치프레이즈 공모전, 서포터즈 모집" 메뉴가 보이게 된다. 현재 모바일서울 앱 캐치프레이즈 공모전과 모바일.. 더보기
[KDI 경제뉴스 기고]변화하는 세상, 진화하는 SNS 싸이월드 미니홈피로 수많은 밤을 지새우던 그때를 기억하는가? 디지털카메라가 대중에게 보급되면서 디지털 콘텐츠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자신의 이야기를 친구들과 공유하고 자랑해가며 새로운 친구를 만들어 나간 서비스가 바로 싸이월드 미니홈피다. 싸이월드 미니홈피는 이제 추억이 되었다. 그리고 그 자리를 페이스북과 카카오스토리가 대신하고 있다. 앞으로도 많은 서비스들이 생겨나고 사라지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은 어디까지일까? SNS는 사람이 중심인 공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즉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오프라인에서 알고 지내던 사람들을 온라인에서도 만나 교류할 수 있도록 해주고,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들과도 친구 관계를 맺고 친분을 쌓아갈 수 있도록 해주는 .. 더보기
그 많던 내 페이스북 친구들은 어디 갔을까? 페이스북 친구가 2,000명을 넘은 것은 굉장히 오래전이다. 4년도 전에 2,000명이 넘은 것 같다. 그 이후로 2,000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친구를 더 많이 만들어야겠다는 생각도 별로 한 적 없고, 그럴 의미도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2,000명의 친구도 사실 페이스북을 하면서 초창기에 많은 사람들을 친구로 만들면 어떤 일들이 벌어질지 궁금해서 만들었던 친구들이다. 친분이 있는 지인 개념이 아니라는 이야기다. 그런데 요즘 활동하고 있는 친구들이 별로 눈에 띄지 않는다. 글이라도 가끔 올리는 친구들은 뉴스피드에 보일텐데.. 그 사람이 그 사람이다. 친구수가 2,000명이라면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눈에 띄어야 할텐데 말이다. 무엇보다 글이나 사진, 동영상을 올리게 되면 그에 반응하는 친구들의 .. 더보기